TSLY ETF 장단점 ROC 알아보기 (초고배당 월배당 ETF)
이번 글에서는 초고배당 ETF로 잘 알려진 TSLY ETF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고배당, 월배당 주식에 관심이 있는 분들이라면 한번쯤 들어보셨을만한 ETF가 아닐까 싶은데요. 상당히 높은 리스크가 존재하는 ETF이기도 합니다.
지금부터 TSLY ETF 기본정보 및 배당금 현황, 장단점, 그리고 ROC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TSLY ETF 기본정보
- 정식 명칭 : YieldMax™ TSLA Option Income Strategy ETF
- 티커 : TSLY
- 상장일 : 2022년 11월 22일
- 총보수비율 : 0.99%
TSLY ETF는 테슬라(TSLA)의 주식을 기반으로 하여 커버드콜 전략을 활용하는 ETF입니다.
테슬라 주식을 매수한 뒤 콜 옵션을 매도함으로써 옵션 프리미엄을 수익으로 얻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요. 이렇게 얻은 수익을 투자자들에게 배당금 형태로 지급하고 있습니다.
이 글을 적는 2024년 말 기준 연간 배당률은 무려 92%에 달하는데요.
이렇게 배당률이 높다고 해서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닙니다. 상당히 높은 리스크가 존재하기 때문인데요. 해당 부분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좀 더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TSLY ETF 분배금 현황
최근 TSLY ETF는 꾸준히 높은 분배금(배당금)을 지급하고 있어 당장의 높은 현금 흐름을 원하는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선택지가 되고 있습니다.
2024년 12월 기준으로 1주당 분배금은 $1.2208이 지급되었는데요. 최근 분배금 내역을 좀 더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지난 11월에는 배당금이 1주당 $0.5986으로 다소 감소하는 등 변동성이 다소 큰 것을 볼 수 있는데요.
이렇게 배당금이 일관되게 유지되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는 점도 미리 염두에 두시길 바랍니다.
TSLY ETF 장단점은? (+ROC)
TSLY ETF의 장점은 옵션 프리미엄을 활용한 고배당 + 월배당으로 월 현금흐름을 만들 수 있다는 점입니다.
게다가 테슬라 주식의 성장 가능성에도 투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데요.
다만 커버드콜 특성 상 테슬라 주식이 상승하더라도 상승하는 주가 흐름을 따라가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반대로 테슬라 주식이 하락할 경우에도 함께 하락할 가능성이 상당히 높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게다가 옵션 프리미엄 만으로 분배금을 마련하지 못할 경우 ROC를 통해 분배금을 지급한다는 점 역시 체크해봐야 할 부분인데요.
ROC는 Return of Capital의 약자로 쉽게 말해 분배금을 지급하기 위해 투자자들의 원금을 일부 빼서 돌려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기존 자산에서 돈이 빠져나가기 때문에 순자산 가치도 함께 감소하게 되죠.
그렇다 보니 ROC 비율이 계속 높게 유지될 경우 주가 흐름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칠 수 밖에 없습니다.
TSLY의 최근 ROC 비율(추정치)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홈페이지에 10월분까지밖에 공지가 안 되어 있네요.)
(8월)
(9월)
(10월)
8, 9월은 90%대로 상당히 높은 편이었으나 10월에는 비율이 꽤 낮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꾸준한 추적 관찰(?)이 필요해보이네요. ROC 비율이 계속 낮게 나와주면서 높은 배당금까지 유지된다면 정말 좋을 것 같습니다.
배당금 환전 및 재투자
<
TSLY는 미국 ETF이기 때문에 당연히도 배당금 역시 달러로 지급이 됩니다. 그렇다 보니 이렇게 달러로 지급된 배당금을 어떻게 활용할지도 고려해보시면 좋은데요.
배당금을 원화로 바로 환전하는 방법도 있지만 다시 미국 주식에 재투자하는 방식을 선택하는 분들도 많습니다.
최근 환율이 1,400원대를 기록하면서 환테크를 활용한 소소한 수익을 보시는 분들도 많고요.
TSLY로 받은 배당금을 비교적 안전하다고 여겨지는 배당주인 SCHD나 JEPI 등에 재투자하는 식으로 운영하는 분들도 계시더라고요.
본인이 선호하는 방식에 따라 투자 전략을 세워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TSLY ETF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높은 배당률과 꾸준한 현금 흐름을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꽤나 매력적인 투자 상품이 되지 않을까 싶은데요.
주가 상승에 제한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이나 ROC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 등 상당한 리스크가 존재한다는 사실도 함께 고려하시는 게 좋을 듯 합니다.
오늘 내용은 여기까지입니다. 본인의 투자 성향에 따라 현명한 투자 결정 내리시길 바랍니다.
'경제공부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카오페이 공모주 알리미 설정 및 해지 방법 (+활용법) (0) | 2024.12.16 |
---|---|
세계 부자순위 1위부터 20위까지 (+우리나라 부자순위는?) (0) | 2024.08.19 |
티몬 IPO 추진 소식과 함께 알아보는 티몬 관련주 (0) | 2021.02.22 |
공매도란? 공매도 금지기간은 연장될까? (0) | 2021.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