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속꿀팁

국제전화 거는법 요금 SKT KT LG U+ (미국, 일본, 중국)

국제전화 거는법 요금 SKT KT LG U+ (미국, 일본, 중국)

이번 글에서는 통신사별 국제전화 거는법 및 요금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해외여행, 유학, 출장 등 다양한 상황에서 국제전화를 걸어야 할 일이 생기곤 하는데요. 자주 하는 일이 아니다 보니 막상 전화를 걸려고 해도 막상 어떻게 걸어야 할지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

 

그리고 요금 폭탄을 맞는 경우도 많다고 하던데 요금이 얼마정도 나올까? 걱정이 될 수도 있는데요.

 

지금부터 통신사별(SKT, KT, LG U+) 국제전화 거는법과 간단한 요금 정보까지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국제전화 걸기 전 미리 숙지해 두면 분명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국제전화 거는법 기본적인 방법

 

 

일반적으로 국제전화를 걸 때는 국제전화 사업자 접속번호 → 국가번호 → (지역번호) → 상대방 전화번호 순서로 입력을 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한국에서 미국에 전화를 건다고 가정해볼게요.

 

미국 국가번호는 1이기 때문에 통신사별 접속번호(예: 001, 002, 00700 등) + 1 + 지역번호(앞자리 0 생략) + 상대방 전화번호 형태로 누르면 됩니다.

 

👉 지역번호가 있는 전화번호(유선 전화)라면 ‘국가번호 + 해당 지역번호 + 상대방 번호’를 입력하시면 되고요.

 

상대방이 휴대폰을 사용하는 경우라면, ‘국가번호 + 휴대폰 번호’를 바로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위와 같은 기본적인 패턴만 잘 기억하면 크게 어렵지 않습니다. 상새한 내용은 아래에서 더 알아보도록 할게요.

 

 

 

통신사별 국제전화 접속번호

한국에서 국제전화를 걸 때 가장 먼저 통신사별 접속번호를 입력해야 한다고 말씀드렸는데요.

 

통신사별 접속번호가 조금씩 다릅니다. 대표적으로 국내 주요 3사의 접속번호는 아래와 같아요.

 

  • KT: 001
  • LG U+: 002
  • SKT: 00700

👉 참고로 SKT 회선을 쓰고 있는 경우에도 KT(001)를 사용해서 걸 수 있다고 해요. 어떤 접속번호를 사용해도 통화 자체는 가능한 것인데요.

 

통신사별 요금은 아래에서 다시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국가번호 확인하는 법

 

 

국제전화를 걸 때 국제전화 접속번호 다음으로 꼭 입력해야 할 것이 해당 국가의 국가번호입니다.

 

 

국가마다 번호가 다르기 때문에 정확하게 입력을 하셔야 하는데요. 미국, 일본, 중국 국가번호는 아래와 같습니다.

 

  • 미국: 1
  • 일본: 81
  • 중국: 86
  • 한국: 82(해외에서 국내로 전화 걸 때 활용)

 

👉 위 국가들 이외의 국가번호는 네이버에 ‘국가번호’라고 검색하시면 바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베트남 84, 영국 44, 오스트레일리아 61 등이라고 하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네요.

 

 

 

 

국제전화 거는법 예시

국제전화 접속번호, 국가번호 다음으로 지역번호를 확인해야 하는데요.

 

우리나라에도 서울 02, 인천 032 등 지역번호가 존재하는 것처럼 다른 나라들 역시 도시에 따라 지역번호가 다른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미국 뉴욕의 지역번호는 212, 로스앤젤레스는 213, 시카고는 312 등 인데요.

 

내가 걸어야 할 전화번호에 지역번호가 포함되어있는지 여부를 한번쯤 체크해 보시길 바랍니다. (참고로 휴대폰 번호라면 지역번호 입력 필요 없습니다.)

 

참고로 구글맵에서 제공되는 호텔 전화번호의 경우 국가번호, 지역번호까지 함께 표기가 되어 있어서 따로 확인할 필요가 없더라고요.

 

 

 

⇒ 위 이미지 속 전화번호에서 ‘1’과 ‘212’는 각각 국가번호, 지역번호입니다.

 

만약 SKT 국제전화를 사용해 위 번호로 전화를 걸 경우,

 

00700 + 1 + 212 + 7585700

 

라고 입력하시면 되겠죠?

 

 

 

통신사별 국제전화 요금 얼마?

국제전화는 요금 폭탄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상당히 비싼 것으로 잘 알려져 있는데요. 주요 통신사별 표준 국제전화 요금은 아래와 같습니다.

 

 

  • KT(001) : 미국/일본 ⇒ 950.4원/분, 중국 ⇒ 1,458.6원/분
  • SKT(00700) : 미국/일본 ⇒ 990원/분, 중국 ⇒ 1,459원/분
  • LG U+(002) : 미국/일본 ⇒ 983.4원/분, 중국 ⇒ 1,458.6원/분

 

👉 통신사별 요금 자체는 크게 차이나지 않지만 기본적으로 상당히 비싸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미국/일본 기준 5분 정도만 전화해도 5천원이 순식간에 사라지는 셈인데요. (심지어 중국은 더 비쌈..)

 

평소 해외 통화를 자주 하신다면 각 통신사 홈페이지나 고객센터를 통해 제휴할인, 묶음할인, 단기 이벤트 등을 꼭 확인해보시는 게 좋습니다.

 

가끔 특정 국가로의 요금을 대폭 할인해주는 프로모션이 있기도 하니까요.

 

그리고 해외에 거주하는 가족이나 지인에게 전화를 할 경우 국제전화보다는 데이터 통화(메신저 통화)나 현지 전화카드 구매 등을 활용하는 방법을 추천드리고 싶네요.

(단, 데이터 통화는 인터넷 환경이 원활해야 함!)

 


지금까지 간단해 보이지만 은근히 헷갈리는 국제전화 거는법에 대해 정리해봤습니다.

 

통신사별 접속번호(001, 002, 00700)만 기억해두시고, 여기에 국가번호와 지역번호, 상대방 전화번호를 차례로 입력하면 된다는 점만 기억하시면 될 것 같네요.

 

분당 요금이 생각보다 높으니 전화를 걸기 전 이 점도 잘 고려하시길 바랍니다.

 

그럼 이만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